2013년 8월 8일 목요일

퍼플캣 프리미어 프로 CS6 강좌16. 오프라인파일 연결하기

퍼플캣 프리미어 프로 CS6 제16강좌. 오프라인파일 연결하기
Premiere Pro CS6. Offline Media



프리미어프로 Premiere pro 강좌 16강좌는 오프라인파일을 재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프리미어 프로 CS6를 가지고 진행합니다. 
PC버전과 맥버전의 차이가 없으므로 상관없이 보시면 됩니다.

16강좌입니다. 오늘은 원본 미디어파일이 옮겨져서 오프라인파일 상태로 표시될 때 
그것을 다시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하나의 파일을 연결할 수 있고 여러개의 오프라인파일을 한꺼번에 연결할 수도 있습니다. 
오프라인파일을 새로 Batch Capture배치캡처 받는 것도 가능합니다.



adobe premiere pro 사용법 
어도비 프리미어 영상편집16. 오프라인파일 연결하기


<유튜브동영상>




유튜브채널
퍼플캣의 손에 잡히는 "프리미어 프로 CS6"





*상세설명

편집을 하시다보면 가끔 이렇게 미디어 오프라인이라는
다국적(?) 메시지에 깜짝 놀랄 때가 있습니다.
어떻게 해결해야할지 방법을 안다고 해도 누구나 놀랄 수 밖에 없는 메시지입니다.
그때 드는 생각 "혹시나 내 원본파일이 잘못됐나?"





문제가 있으면 방법이 있습니다.
미디어 오프라인으로 표시된 파일을 찾아 우클릭(Win) or 옵션 + 클릭(Mac) 해줍니다.
여기서 Link Media를 선택해줍니다.



파일선택 상자가 나옵니다.
이때 Display Only Exact Name Matches를 체크하시면
파일을 찾기 더 용이합니다. 찾는 파일과 같은 이름만 원래대로 보이고 
나머지 파일들은 회색처리되기 때문이죠^^



이처럼 하나씩 찾아주어도 되고
오프라인으로 된 여러개의 파일을 한꺼번에 선택하여 재연결시킬 수도 있습니다.



하나만 찾아주면 같은 폴더 안에 있는 같은 이름의 파일들은 모조리 찾아줍니다.
이것이 바로 자동화~



또는 원본파일이 유실되거나 손상을 입었을 때는 Batch Capture로 다시 캠코더로 부터
파일을 캡쳐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때 원래받았던 테잎과 같은 것인지를 확인하세요^^


지금까지 16강 오프라인파일을 재연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여러분의 응원 부탁드립니다.
더욱 힘을 내어 강좌를 올리도록하겠습니다!!
응원의 댓글 부탁드려요~
댓글 달아주신 분들 감사드립니다^^
- 퍼플캣, 프리미어 프로 CS6 제16강. 오프라인파일 연결하기 -


퍼플캣 프리미어 프로 CS6 강좌15. 메타데이타

퍼플캣 프리미어 프로 CS6 제15강좌. 메타데이타 디스플레이
Premiere Pro CS6. MetaData Display



프리미어프로 Premiere pro 강좌 15강좌는 프로젝트패널에서 뉴빈New Bin을 만드는 3가지 방법과 
메타데이타를 편집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프리미어 프로 CS6를 가지고 진행합니다. 
PC버전과 맥버전의 차이가 없으므로 상관없이 보시면 됩니다.


빈을 만드는 3가지 방법입니다.
1. 프로젝트패널의 빈 공간 우클릭 > New Bin 선택
2. 프로젝트패널의 우측아래 New Bin 아이콘 클릭
3. 메뉴모음라인에서 File > New > Bin 선택

그리고 메타데이타를 편집하는 방법에 대해서 유튜브동영상을 통해서 자세히 설명하였습니다.
제가 선호하는 메타데이타인 Video Usage와 Audio Usage에 관한 설명도 이어집니다.


adobe premiere pro 사용법 
어도비 프리미어 영상편집15. 메타데이타 MetaData 디스플레이



<유튜브동영상>



유튜브채널
퍼플캣의 손에 잡히는 "프리미어 프로 CS6"




*상세설명

우선 뉴 빈을 만들어주기 위해 프로젝트 패널을 선택해주십니다.



키보드의 "~"키를 눌러주시면 프로젝트 패널이 전체화면으로 확대됩니다.



빈을 만드는 3가지 방법입니다.
1. 프로젝트패널의 빈 공간 우클릭 > New Bin 선택
2. 프로젝트패널의 우측아래 New Bin 아이콘 클릭
3. 메뉴모음라인에서 File > New > Bin 선택



만들어진 빈이 선택된 가운데서 그것을 더블클릭해주시면
프로팅 윈도우 Flotting Window로 새로 뜨게 됩니다.
이렇게 두 개의 윈도우로 파일관리를 하면 보다 쉽게 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메타데이타 디스플레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프로젝트패널의 메타데이타 탭에서 우클릭을 하시면 메타데이타 명령어가 보입니다.
클릭해주세요^^



프리미어 프로 프로젝트 메타데이타 폴더 아래에 있는 것들을
현재 프로젝트 패널에 탭으로 나타나 있는 것들입니다.
여기서 편집을 할 수 있습니다.
Media Type은 동영상, 비디오, 이미지 등 클립의 종류를 의미합니다.




Frame Rate는 아시는 것처럼 비디오의 초당 전송률입니다.




Media Start는 시작지점의 타임코드를
Media End는 끝지점의 타임코드를 의미합니다.



Media Duration은 클립의 재생시간, 지속시간을 의미합니다.



Video Info는 1280X720, 1920X1080 등의 프레임사이즈와 픽셀의 종횡비를 나타냅니다.
픽셀의 종횡비는 보통 1이거나 0.9입니다.




Audio Info는 오디오의 샘플레이트와 비트수, 그리고 채널 정보를 나타냅니다.



제가 자주 사용하는 메타데이타 중에 Video Usage와 Audio Usage가 있습니다.
이것은 각각 타임라인에 사용된 클립의 비디오와 오디오 횟수를 나타냅니다.


지금까지 15강 뉴빈New Bin을 만드는 3가지 방법과 
메타데이타를 편집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여러분의 응원 부탁드립니다.
더욱 힘을 내어 강좌를 올리도록하겠습니다!!
응원의 댓글 부탁드려요~
댓글 달아주신 분들 감사드립니다^^
- 퍼플캣, 프리미어 프로 CS6 제15강. 메타데이타 MetaData 디스플레이 -

퍼플캣 프리미어 프로 CS6 강좌14. 프리뷰

퍼플캣 프리미어 프로 CS6 제14강좌. 프리뷰, 랜더 프리뷰
Premiere Pro CS6. Preview



프리미어프로 Premiere pro 강좌 14강좌는 일반적인 프리뷰 방법과 렌더 프리뷰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프리미어 프로 CS6를 가지고 진행합니다. 
PC버전과 맥버전의 차이가 없으므로 상관없이 보시면 됩니다.

Sequence> Render Effects in Work Area를 하였을 경우 타임라인에서 붉은 선이
녹색 선으로 변하는 의미에 대해서도 알아봅니다.
유튜브동영상을 참조해 주세요^^


adobe premiere pro 사용법 
어도비 프리미어 영상편집14. 프리뷰, 랜더 프리뷰



<유튜브동영상>



유튜브채널
퍼플캣의 손에 잡히는 "프리미어 프로 CS6"




*상세설명

타임라인에서 빨간색 선으로 클립을 세로로 가로지르는 선이 바로
현재시간 지시자입니다. Current Time Indicator를 바로 번역한 말인데요
타임라인상에서 프로그램 모니터 상에 나타난 편집물의 현시간을 나타내어 줍니다.

그리고 이 선은 편집의 기준선이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에디트 라인 Edit Line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재생시에는 현재시간 지시자, 편집시에는 에디트 라인이라고 부르면 되겠죠^^





프리뷰 방법은 간단합니다. 스페이스바 Spacebar를 눌러주면 됩니다.
또는 프로그램 모니터 컨트롤 단추들 중 플레이 버튼을 눌러주셔도 됩니다.

만약 소스모니터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스페이스바를 눌러주게 되면 소스모니터가 플레이됩니다.
타임라인이나 프로그램 모니터가 활성화되어 있다면 현재 편집되고 있는 영상이 플레이되구요.




이펙트가 걸려있거나 스피드 조정이 있는 등 클립의 렌더링이 필요할 경우 워크에어리어 Work Area에
해당부분이 붉은 선으로 나타납니다. 이것은 렌더링을 거쳐야지 원활한 재생이 가능하다란 말입니다.
이펙트가 간단하고 고급 하드웨어 렌더링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라면
굳이 렌더링을 거치지 않고도 플레이가 됩니다.



하지만 하드웨어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편한 재생을 위해서는 이펙트가 적용된
렌더링 파일을 따로 만들어주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런 경우 워크에어리어가 설정된 가운데서 엔터키를 눌러줍니다.




Sequence 아래에 "Render Effects in Work Area"를 선택하셔도 됩니다.
전 구간을 다 렌더링하려면 "Render Entire Work Area"
오디오 부분만 렌더링을 하려면 "Render Audio"




렌더링이 진행될 때 뜨는 상자입니다.
렌더링의 현재진행상태, 렌더링 프레임수 남은 예상시간 등이 나옵니다.




렌더링을 거치고 나면 워크에어리어가 초록색으로 변합니다.
만일 편집을 모두 끝마치고 난 뒤 이 렌더링 파일들의 용량이 부담스럽다면
Sequence 아래에 "Delete Render Files"를 눌러주시면 렌더링 파일들이 지워집니다.



렌더링 파일들이 저장되고 있는 위치가 궁금하시다구요?
Project > Project Settings > Scratch Disks에 들어가시면
비디오와 오디오 프리뷰파일이 저장되는 위치를 지정하실 수 있습니다.
디폴트값은 프로젝트 파일이 있는 곳입니다.


 

지금 제 프로젝트 파일이 있는 곳에
"Adobe Premiere Pro Preview Files" 폴더가 보입니다.
이곳에 비디오와 오디오 렌더링 파일들이 차곡차곡 싸이게 됩니다.


지금까지 14강 일반적인 프리뷰 방법과 렌더 프리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여러분의 응원 부탁드립니다.
더욱 힘을 내어 강좌를 올리도록하겠습니다!!

응원의 댓글 부탁드려요~
댓글 달아주신 분들 감사드립니다^^



- 퍼플캣, 프리미어 프로 CS6 제14강. 프리뷰, 랜더 프리뷰 -




퍼플캣 프리미어 프로 CS6 강좌13. 캡쳐전 세팅과 캡쳐받기

퍼플캣 프리미어 프로 CS6 제13강좌. 캡쳐전 세팅하기와 캡쳐받는 3가지 방법
Premiere Pro CS6. Setting before Capturing 
Capturing from the DV(HDV) tape



프리미어프로 Premiere pro 강좌 13강좌는 본격적으로 캡쳐받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프리미어 프로 CS6를 가지고 진행합니다. 
PC버전과 맥버전의 차이가 없으므로 상관없이 보시면 됩니다.

유튜브 캡쳐A 동영상에서는
캠코더와 PC를 IEEE 1394라인으로 함께 연결해 보겠습니다. 
그리고 기본적인 캡쳐를 받기 전에 캡쳐포맷을 선택하는 방법부터 
캡쳐 프리뷰 세팅, 클립 데이터 작성요령, 캡쳐 로케이션 지정방법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튜브 캡쳐B 동영상에서는
일반적인 캡쳐받는 방법부터 인/아웃 캡쳐, 배치캡쳐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배치캡쳐의 경우 로그클립만을 생성해두었다가 다른 PC에서 그 정보를 이용하여 캡쳐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유튜브동영상을 참조해 주세요^^



adobe premiere pro 사용법 
어도비 프리미어 영상편집13. 캡쳐전 세팅하기와 캡쳐받는 3가지 방법



<유튜브동영상 A,B>







유튜브채널
퍼플캣의 손에 잡히는 "프리미어 프로 CS6"




*상세설명

캠코더에 IEEE1394 라인을 연결해주십니다.
나중에 PC와 연결을 한 후에 캠코더를 촬영모드가 아닌 재생모드로 해 둡니다.



맥북인 경우에는 한쪽 끝은 썬더볼드 단자이고 한쪽 끝은 1394단자인 라인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인 PC는 굵은 1394단자이고
노트북에서는 상대적으로 얇은 1394단자를 사용합니다.



처음 뉴 프로젝트를 열어주실 때
캡쳐받을 포맷과 동일한 세팅을 해 주셔야 합니다.
이것은 나중에 프로젝트 세팅에서 변경이 가능합니다.
이것은 DV인지 HDV인지 전송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과정입니다.



DV인 경우 스텐다드는 4:3 포맷이고 와이드는 16:9포맷입니다.
본인이 찍은 영상의 규격을 확인합니다.



만일 PC가 캠코더를 인식하지 못한다면
우선 PC의 1394 컨트롤러에 이상이 있는지부터 확인해봅니다.
내 컴퓨터 우클릭> 속성 > 시스템 > 장치관리자로 들어가셔서
IEEE 1394 버스 호스트 컨트롤러가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이것이 정상작동한다면 캠코더의 DV전송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모든 것이 정상 연결되었다면
프리뷰와 캡쳐시에 PC모니터와 스피커에서도 그 내용을 송출할지를 결정해줍니다.
프로젝트 > 프로젝트 세팅 > 제너럴 에서 보시면 
캡쳐포맷 우측에 세팅 단추가 있습니다.

만일 캠코더에서도 영상과 소리가 재생된다면
PC와 두 곳에서 재생이 되어 소리와 영상의 시간차가 발생합니다.
그러므로 한 곳은 꺼두는 곳이 좋습니다.
저는 캠코더의 영상와 소리는 닫아두고 PC에서 영상과 소리를 재생해서 캡쳐를 받습니다.
(그러므로 올 체크!!)
쓰시는 분에 따라 선택하시면 됩니다.



캡쳐 창입니다.
로깅에서 셋업부분에서 영상과 오디오 모두를 캡쳐 받을지 결정해 줍니다.



그리고 클립 데이터에는
테잎의 이름과 클립네임, 간단한 설명을 적어줍니다.
테잎 이름을 정확하게 적어주셔야지 다음에 다시 캡쳐를 받을 때 테잎을 찾기 쉽습니다.



일반적인 캡쳐 방법은 재생 컨트롤러 부분으로 플레이를 하다가 
원하는 캡쳐부분에서 레코드 버튼을 눌러주는 것입니다.



이렇게 레코드 버튼이나 단축키 "R"을 눌러줍니다.



캡쳐를 끝낼때는 스톱버튼이나 단축키 "Esc"를 눌러줍니다.
일반적으로 단축키를 많이들 사용합니다.



다음은 인/아웃 점을 직접 찍어주어 그 부분만 캡쳐받는 방법입니다.



영상을 재생시키면서
재생 컨트롤러나 타임코드 영역에서 "{"과 "}" 단추를 눌러줍니다.
이렇게 인 아웃을 정해주는 것입니다.
캡쳐부분에 "In/Out"단추가 있습니다. 이것을 눌러주시면
캠코더가 인아웃점을 자동으로 찾아가면서 그 부분을 캡쳐받아줍니다.
자세한 것은 <유튜브동영상>을 참조해주세요^^



다음은 배치캡쳐입니다!
로그클립들을 만들어 준 다음 나중에 한꺼번에 캡쳐를 받는 방식입니다.
이것은 우선 인/아웃 캡쳐와 마찬가지로 인아웃을 정해준 다음 로그클립을 만들어줍니다.



프로젝트 패널에 로그클립들이 생성됩니다.
우클릭을 하셔서 배치캡쳐를 선택해주십니다.



테잎이름이 정확한지를 확인합니다.
오케이!



맨 위 상태 표시줄을 보시면 현재 3개의 클립 중에서 첫번째 클립을 캡쳐받고 있다라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정상적으로 캡쳐를 받고 있다라는 표시입니다.



캡쳐를 다 받고 나면 프로젝트 패널의 아이콘이 로그클립 표시에서 정상적인 동영상 표시로 바뀝니다.



배치캡쳐 로그클립을 리스트로 저장해 두었다가
다른 PC에서 불러들여 따로 동영상을 캡쳐받을 수도 있습니다.
프로젝트 > 익스포트 배치 리스트로 내보내고
임포트 배치 리스트로 불러들입니다.



임포트 배치 리스트로 하면
프로젝트 패널에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 배치 빈 속에
방금 임포트한 로그클립들이 들어가 있습니다.
이것을 같은 방식으로 배치캡쳐를 받으시면 됩니다^^


지금까지 13강 캡쳐전 세팅하기와 캡쳐받는 3가지 방법에 대한 설명이 마무리되었습니다.
여러분의 응원 부탁드립니다.
더욱 힘을 내어 강좌를 올리도록하겠습니다!!

응원의 댓글 부탁드려요~
댓글 달아주신 분들 감사드립니다^^



- 퍼플캣, 프리미어 프로 CS6 제13강. 캡쳐전 세팅하기와 캡쳐받는 3가지 방법 -



퍼플캣 프리미어 프로 CS6 강좌12. 파일불러오기, 파일배치


퍼플캣 프리미어 프로 CS6 제12강좌. 
파일불러오기, 타임라인에 파일배치

Premiere Pro CS6. Importing, from the Source monitor to the Timeline




프리미어프로 Premiere pro 강좌 12강좌는 프로젝트 패널로 파일을 불러오는 방법 4가지와
불러온 파일을 소스 모니터상으로 보내는 방법 그리고 타임라인에 파일을 보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Overwrite과 Insert의 차이에 대해서도 알아봅니다.
프리미어 프로 CS6를 가지고 진행합니다.
PC버전과 맥버전의 차이가 없으므로 상관없이 보시면 됩니다.

편집을 위해서는 우선 동영상, 이미지, 음악 파일을 프로젝트 패널로 불러옵니다.
기본방법부터 간단한 방법까지 알려드립니다.
프로젝트 패널은 음식재료를 담아놓은 그릇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제 재료를 모아두었으니 도마 위로 가져다가 요리를 해야겠죠^^
클립들을 타임라인으로 가져가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려드립니다.
<유튜브동영상>을 참조하세요^^


adobe premiere pro 사용법
어도비 프리미어 영상편집12. 파일불러오기, 타임라인에 파일배치





<유튜브동영상1,2>







유튜브채널
퍼플캣의 손에 잡히는 "프리미어 프로 CS6"




*보충설명
파일을 임포트하는 방법은 파일메뉴모음에서 File > Import 를 눌러주는 방법과
단축키 Cmd + i(Mac), Ctrl + i(win)이 있습니다.


이보다 더욱 간단한 방법은 파로 프로젝트 패널의 빈공간을 더블클릭해주는 것입니다!


그러면 보시는 것처럼 Import 파일 불러오기 상자가 뜹니다^^


제가 주로 쓰는 방법은 탐색기에서 파일을 골라보고 
바로 탐색기에 나타난 파일을 프로젝트 패널로 드래그 앤 드롭하는 방법입니다.
어느 방법을 사용하시든 편하신대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제가 쓰는 방법을 사람들이 많이 쓰다보니까
어도비에서 탐색기 기능을 프리미어 프로에 포함시켜 버렸는데요 이것이 바로 미디어브라우저입니다.
미디어브라우저에서 썸네일로 쉽게 파일을 선택하시고 우클릭(Mac, Cmd + 클릭)하시면
Import 명령이 보입니다.


Import 명령을 누르시면 프로젝트 패널에 파일이 들어와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금은 프로젝트 패널 전체화면 상태입니다. 단축키는 "~"키입니다.


자 파일들이 프로젝트 패널로 많이 들어왔으니 Bin을 만들어 정리해볼까요.


빈공간에 우클릭(Mac, Cmd + 클릭) 하시어 New Bin을 선택해주신 뒤
이름을 달아주시면 됩니다. 탐색기의 폴더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엄밀히 말해 오직 프로젝트 패널에서만 쓸 수 있는 폴더이지요^^


프로젝트 패널의 파일을 더블클릭하시면 소스모니터에 뜹니다.
그래서 파일내용을 확인하고 편집구간을 정해 타임라인으로 보낼 수 있습니다.



소스모니터에 들어온 파일은 플레이 스톱 토글키를 통해 재생을 해 볼 수 있습니다.
단축키는 소스모니터 활성화 상태에서 스페이스바입니다.



소스모니터의 그림을 타임라인으로 바로 드래그 앤 드롭할 수 있습니다.
소스모니터의 그림을 프로그램 모니터로 드래그 앤 드롭해도 결과는 마찬가지입니다.


소스모니터에서 타임라인으로 보내는 단축키에는 오버라이트 "." 마침표키와
인서트 "," 쉼표키가 있습니다.
오버라이트 "." 마침표키를 누르면 타임라인 상에서 현재시간 지시자 선을 기준으로 덮어씌우기가 됩니다.
물론 현재 타임라인에 아무런 클립이 없다면 그냥 얹기 기능이 되겠지요.


인서트 "," 쉼표키를 누르면 삽입이 됩니다.
여기서 삽입이란 기존에 타임라인에 존재하는 클립을 가르면서 들어간다는 것입니다.
<유튜브동영상>을 통해 직접 보여드리겠습니다^^



자 정리해보면 
소스모니터에서 타임라인으로 클립을 보내는 방법은 보시는 것처럼 크게 3가지입니다.
직접 타임라인으로 드래그 앤 드롭, 프로그램 모니터로 드래그 앤 드롭, 그리고 단축키를 사용하는 방법!!



지금까지 12강 파일불러오기, 타임라인에 파일배치 설명이 마무리되었습니다.
여러분의 응원 부탁드립니다.
더욱 힘을 내어 강좌를 올리도록하겠습니다!!

응원의 댓글 부탁드려요~
댓글 달아주신 분들 감사드립니다^^


- 퍼플캣, 프리미어 프로 CS6 제12강. 파일불러오기, 타임라인에 파일배치 -